안녕하세요,
오늘은 직장인들께서 궁금해하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최저연봉의 경우 실수령액은 얼마인지, 내 세후 월급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벌써 2022년 한 해가 얼마 남지 않고 2023년의 해가 떠오르려고 하네요. 다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참고하여 내 세후 월급은 얼마인지 미리 알아보도록 합시다.
그럼 바로 알아볼까요?
2023년 연봉 실수령액 참고사항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알려드리기 앞서 참고사항에 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월급을 받으실 때 세전월금에서 공제항목인 4대 보험료와 소득세, 지방세가 공제된 나머지 금액을 받게 되며, 이를 실수령액이라고 합니다.
2023년 1월부터 인상되는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반영한 4대보험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 표를 참고하여, 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세의 10%를 부담합니다.
공제항목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고용보험 | 소득세 | 지방세 |
요율 | 4.5% | 3.545% | 건강보험의 12.81% |
0.9% | 간이세액 | 근로소득세의 10% |
또한 실수령액 표는 아래 사항을 적용하였다는 것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3년 인상된 4대 보험요율 적용
- 1인 가구 기준(부양가족 X)
- 비과세 급여 포함 X
- 각 사업장의 계산방법과 개인의 상황에 따라 실수령액에 차이가 있음
2023 연봉 실수령액 표
① 연봉 2,200만 원 ~ 5,400만 원
② 연봉 5,500만 원 이상
+ 2023년 최저 시급, 월급에 대하여 궁금하시다면?
2023 최저시급 최저임금은 얼마 주휴수당 세후세전 월급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3년 최저시급, 최저임금은 어떠한지, 주휴수당 포함 시 시급은 얼마인지, 최저임금 위반 시 어떻게 되는지에 대하여 총정리해 보았습니다. 2022년 한 해가 저물고 2023년이
blog.sooryeon.com
지금까지 2023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융,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등급 조회 신용점수 등급표 신용점수 조회 3분만에 알아보자! (0) | 2022.12.16 |
---|---|
비과세종합저축 가입대상 가입한도 이자계산방법 간단히 알아보기! (0) | 2022.12.16 |
2023 최저시급 최저임금은 얼마 주휴수당 세후세전 월급 총정리 (0) | 2022.12.14 |
연금저축 IRP(개인형 퇴직연금) 총정리 연말정산 때 매년 최대 115만원 환급받자 ! (0) | 2022.12.09 |
고금리상품 파킹통장 금리비교 상품추천 총정리 (0) | 2022.12.08 |
댓글